누군가는 갑작스러운 실직
누군가는 질병이나 이혼
혹은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
하루아침에 살 곳을 잃습니다.
그 순간, 가장 절실한 것은
‘돈’보다 머물 수 있는 안전한 공간
즉 주거 안정입니다.
복지정책 중에 긴급 주거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주거급여·공공임대주택·긴급복지지원제도 등과 연계되어
통합형 주거복지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.

목차
위기가구에 주거지원이 필요한 이유
주거는 인간의 기본권입니다.
하지만 경제적 위기에 놓인 저소득층이나
돌발적인 사고를 겪은 위기가구는
단 한 달 월세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에 놓입니다.
정부는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
최대 12개월까지 임시거처를 제공하거나,
보증금·월세 일부를 직접 지원합니다.



긴급 주거지원 제도, 이렇게 운영됩니다
| 구분 | 지원 내용 | 지원 기간 | 신청 장소 | 
| 월세 지원 | 최대 43만 원까지 지원 가능 | 최대 6개월 | 복지로 긴급 지원 신청 | 
| 주거급여 연계 | 소득 하위 45% 이하 가구 주거비 추가 지원 | 상시 | 국민행복카드, 마이홈 포털 | 
| 긴급주거지원 | 임시거처 제공 또는 임대료 지원 | 최대 12개월 | 시·군·구청 복지과 | 
| 보증금 지원 | 보증금 200만 원 이내 무이자 지원 | 1회 |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| 
지원 대상
갑작스러운 실직, 질병, 이혼, 가정폭력, 주거 철거 등으로
‘생계유지가 곤란한 경우’이면
긴급 주거지원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

저소득층을 위한 주거급여 + 공공임대 연계
정부의 주거급여 제도는
기초생활보장 제도의 한 분야로,
월세·전세·자가 보수 형태별로 주거비를 맞춤 지원합니다.
또한, 공공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을 함께 신청하면
임시거처 → 장기 공공임대로의 연속적 주거 안정 경로를
확보할 수 있습니다.
긴급 지원 6개월 → 공공임대주택 입주 연계
주거급여 수급 중 전세 임대 신청할 수 있습니다
즉, 당장의 쉼터부터 장기 거주까지
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입니다.



위기가구 실질 지원 사례
사례 1. 은퇴 후 생계 곤란한 독거 어르신 A 씨
퇴직 후 월세 50만 원을 감당하지 못해 퇴거 위기에 있었으나
구청을 통해 긴급복지지원으로
3개월 치 월세 지원 +공공임대주택 우선 배정으로
안정된 거주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
사례 2. 한부모 가정 B 씨
이혼 후 아이와 함께 살 곳이 없어
지자체 긴급 지원 신청한 다음
임시 주거시설 입주 후,
주거급여 및 한부모가정 주택 우선 공급으로
새 보금자리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
이처럼 긴급 주거지원은 임시방편이 아닌,
다시 서기 위한 첫걸음이 되어줍니다.



신청 방법 및 유의 사항
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거주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합니다
긴급복지지원 → 주거급여 → 공공임대 연계 순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
재난, 질병, 실직 등 사유 입증 서류 필수이며
신청 후 24시간 내 긴급 조사·3일 이내 지원 결정이 됩니다
문의처: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/ 마이홈 콜센터 1600-1004
힘든 시기일수록, 도움을 요청할 용기가 필요합니다.
당신의 내일은 다시 따뜻해질 수 있습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놓치면 후회합니다 임대주택 당첨 이렇게만 하면 됩니다 (0) | 2025.11.03 | 
|---|---|
| 고령자·은퇴세대 주거복지 완전정복“노후 걱정 줄이고, 편히 사는 집 찾는 법” (0) | 2025.10.29 | 
| 다자녀·장애인가정 주거복지 완전정복정부가 지원하는 ‘가족 맞춤형 주거복지 제도’ 실전 가이드 (0) | 2025.10.28 | 
| 청년·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 내 집 마련, 이제 포기하지 마세요 (0) | 2025.10.26 | 
| 50대 이후, 다시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부지원 가이드 (0) | 2025.10.25 |